통계를 공부하다 보면 가장 자주 마주치는 곡선이 있다. 그것은 바로 ‘정규분포(normal distribution)’라는 이름의 종 모양 곡선이다. 좌우 대칭의 매끄러운 곡선, 평균을 중심으로 데이터가 흩어져 있는 그 모습은 마치 자연 현상의 균형을 상징하는 듯하다. 이 정규분포가 왜 중요한지, 어디에 쓰이는지, 그리고 중심극한정리와는 어떤 연관이 있는지를 정리해 보고자 한다. 🔍 정규분포란 무엇인가?정규분포는 연속확률분포 중 하나로, 평균(μ)을 중심으로 데이터가 대칭적으로 퍼지는 분포를 말한다. 확률밀도함수는 다음과 같은 식으로 정의된다. 여기서 μ는 평균, σ²는 분산이다. 이 함수는 대략 다음과 같은 형태의 곡선을 그린다.이 곡선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. 1) 평균을 기준으로 좌우 대칭이다.2..